최종편집 : 2025.01.13 16:13
TODAY : 포덕166년 2025.01.13 (월)

  • 구름많음속초3.4℃
  • 흐림-1.9℃
  • 흐림철원0.8℃
  • 구름많음동두천0.6℃
  • 구름조금파주-0.5℃
  • 흐림대관령-3.5℃
  • 흐림춘천-2.0℃
  • 구름조금백령도4.8℃
  • 구름많음북강릉1.7℃
  • 흐림강릉3.9℃
  • 흐림동해2.2℃
  • 흐림서울1.6℃
  • 흐림인천2.6℃
  • 흐림원주2.2℃
  • 구름조금울릉도3.1℃
  • 흐림수원1.8℃
  • 흐림영월0.4℃
  • 흐림충주1.7℃
  • 흐림서산3.3℃
  • 구름조금울진1.5℃
  • 흐림청주3.3℃
  • 구름조금대전2.9℃
  • 맑음추풍령0.6℃
  • 흐림안동0.4℃
  • 구름많음상주3.0℃
  • 맑음포항1.8℃
  • 흐림군산2.5℃
  • 맑음대구0.8℃
  • 구름많음전주3.7℃
  • 맑음울산1.8℃
  • 맑음창원1.8℃
  • 맑음광주2.0℃
  • 맑음부산3.1℃
  • 맑음통영2.8℃
  • 맑음목포3.2℃
  • 맑음여수3.7℃
  • 맑음흑산도4.9℃
  • 맑음완도1.7℃
  • 맑음고창1.3℃
  • 맑음순천-2.6℃
  • 흐림홍성(예)2.5℃
  • 흐림2.6℃
  • 맑음제주5.1℃
  • 구름조금고산5.2℃
  • 맑음성산3.0℃
  • 맑음서귀포5.1℃
  • 맑음진주-2.7℃
  • 흐림강화-0.8℃
  • 흐림양평-0.2℃
  • 흐림이천0.5℃
  • 흐림인제-0.2℃
  • 흐림홍천-0.3℃
  • 흐림태백-2.0℃
  • 흐림정선군-0.2℃
  • 흐림제천-0.5℃
  • 구름많음보은1.7℃
  • 흐림천안2.8℃
  • 구름많음보령4.0℃
  • 흐림부여2.2℃
  • 흐림금산1.5℃
  • 구름많음2.5℃
  • 맑음부안0.8℃
  • 맑음임실-2.5℃
  • 맑음정읍2.2℃
  • 맑음남원-1.8℃
  • 구름많음장수-2.5℃
  • 맑음고창군0.2℃
  • 맑음영광군0.3℃
  • 맑음김해시1.7℃
  • 맑음순창군-1.7℃
  • 맑음북창원2.5℃
  • 맑음양산시0.3℃
  • 맑음보성군-1.2℃
  • 맑음강진군-0.8℃
  • 맑음장흥-1.6℃
  • 맑음해남-1.1℃
  • 맑음고흥-1.9℃
  • 맑음의령군-0.5℃
  • 맑음함양군-2.1℃
  • 맑음광양시0.5℃
  • 맑음진도군-0.8℃
  • 흐림봉화0.1℃
  • 흐림영주1.6℃
  • 흐림문경1.8℃
  • 흐림청송군-3.2℃
  • 구름많음영덕0.5℃
  • 구름많음의성-1.9℃
  • 맑음구미-0.5℃
  • 맑음영천-1.4℃
  • 맑음경주시-1.3℃
  • 맑음거창-2.8℃
  • 맑음합천-0.3℃
  • 맑음밀양-0.5℃
  • 맑음산청-1.1℃
  • 맑음거제1.3℃
  • 맑음남해3.0℃
  • 맑음-0.3℃
기상청 제공
동학혁명군 희생자를 기리는 사죄비 제막식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학혁명군 희생자를 기리는 사죄비 제막식

나주역사공원에 건립

내년이면 동학농민혁명 130주년을 맞는다. 

동학농민혁명은 기록마다 차이가 있지만 수십만 명의 동학혁명군이 희생되었다. 

반봉건 반외세를 기치로 1894년 1월 10일 고부에서 첫 기포한 동학농민혁명은 1895년 초까지 호남을 비롯하여 영남, 호서, 경기, 강원, 해서 등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정부 관군과 동학혁명군을 진압하기 위해 출병한 일본군의 연합전선으로 각지에서 동학혁명군은 죽임을 당하였다. 일부에서는 이를 제노사이드 즉 대학살이라고 한다.

동학농민혁명 130주년 앞두고 지난 10월 30일 오전 11시 반경 전남 나주시 나주역사공원 내에서 동학혁명군 희생자를 기리는 사죄비를 건립하고 제막식을 가졌다. 

이날 제막식에는 일본인 동학기행 참가자 30여 명과 한국 측 참가자, 신정훈 국회의원, 윤병태 나주시장 등 한·일 두 나라 시민 100여 명이 참석하였다. 

참석자들은 이날 동학혁명군의 넋을 기리면서 전날 세상을 떠난 고 나카쓰카 아키라(中塚明, 95) 사죄비 건립 일본 쪽 공동추진위원장(일본 나라대학 명예교수)을 추모하는 묵념을 올렸다.

제막식은 사죄비 제막, 나천수 사죄비건립추진위원회 공동대표의 경과보고, 동학농민혁명군의 혼을 부른 시 낭송과 살풀이춤(작시 나천수, 살풀이춤 나금자, 시 낭송 김태정), 이노우에 가츠오(井上勝生) 홋카이도대학 명예교수와 나천수 공동대표의 비문 낭독, 이노우에 가츠오 교수와 박맹수 사죄비건립추진위원장의 각각 인사말, 윤병내 나주시장의 환영사, 신정훈 국회의원·이상만 나주시의회 의장·주영채 동학농민혁명유족회 회장의 축사, 기념촬영의 순으로 한 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주영채(주선원) 전국동학농민혁명유족회 회장은 축사에서 ‘슬픈 가족사’를 담담하게 들려주었다. 

그는 “나주 동학농민군 희생자 사죄비는 한국과 일본 ‘동학’ 시민들의 노고와 바람의 결실”이며, “사죄비의 현장은 한·일 평화와 화해의 원점이자 동북아·세계 평화의 성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사죄비 건립 경과보고에 의하면, 2018년 제13차 한일동학기행 방문단이 나주 호남초토영을 답사하면서 비롯되었다. 

나주 호남초토영에는 동학농민혁명 당시 일본군에 의해 동학혁명군의 처형장이 있었고, 이곳에서 수백 명이 희생되었다. 당시 호남초토영은 동학혁명군의 진압 책임자인 일본군 미나미 고시로(南小次郞) 소좌가 관장하고 있었다. 일본 동학기행 방문단을 이끌던 나카츠카 교수는 “일본군이 가해했던 역사를 덮어 놓는다는 것은 학자적 양심에 위배된다”하고 조그마한 위령비를 세우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를 계기로 시작된 위령비 건립은 이듬해 2019년 민간인인 차원에서 건립하기로 하였다. 위령비는 2019년 나주에서 개최된 한일동학학술대회에서 이노우에 교수가 ‘사죄문’을 발표한 후 <사죄비>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2022년 일본 측에서 건립 모금운동을 전개하였고, 한국 측에서 뜻있는 시민들의 모금운동이 이어졌으며, 2023년 10월 30일 사죄비를 제막하였다.

한편 이날 사죄비 제막식에는 천도교 측에서는 주선원 동학농민혁명유족회장, 이윤영 동학혁명기념관 관장, 성주현 신인간 주필, 박길수 모시는사람들 대표, 김명재 순천동학농민혁명 영호도회소 사무국장 등이 자리를 함께 하였다.

KakaoTalk_20231108_163919563.jpg
나주시 나주역사공원에 건립된 동학농민군 희생자를 기리는 사죄비.

 


KakaoTalk_20231108_163923320.jpg
축사를 하는 주선원 동학농민혁명유족회 회장


KakaoTalk_20231108_164615924.jpg
동학혁명군이 학살된 나주 호남초토영 자리, 현재는 나주초등학교가 있다.
KakaoTalk_20231108_164529465.jpg
일본인 동학기행 참가자 30여 명과 한국 측 참가자, 신정훈 국회의원, 윤병태 나주시장 등 한·일 두 나라 시민 100여 명이 참석하였다

 

사진, 글_성주현(신인간 주필)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